◇ 제목 : 현행법상 허용되는 이자의 한계
◇ 사례
사채업자가 제시한 차용증에 따르면 이율이 연 60%로 기재되어 있었다. 딱 3개월만 쓰고 갚겠다고 생각했하고 500만 원을 빌렸는데, 그 후 사정이 더 악화되어 6개월째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있다.
사채업자는 계속 이자가 누적된다는 점을 알려주면서 빚을 갚으라고 독촉하고 있다.
빌릴 때야 급한 마음에 빌렸지만 연리 60%는 너무 과한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다.
과연 김현용씨는 어느 범위에서 이자 책임을 지는 것이 맞을까?
◇ 답변
이자제한법 제2조 1항 및 그 조항에 따른 대통령령에 따르면, 개인간의 금전대차 간에 허용되는 이자의 상한선은 연리 30%입니다.
1) 위 30%를 '초과하는 부분'의 이자는 '무효'입니다(이자제한법 제2조 3항)
2) 만약 채무자가 위 30% 이상을 초과하는 부분을 먼저 이자랍시고 지급했다면, 그 부분도 30%까지만 이자 납입으로 되고, 이를 초과하는 부분은 그 만큼 원금을 갚은 것으로 처리됩니다(이자제한법 제2조 4항)
3) 채권자가 그 명칭을 뭐라고 하든(수수료, 공제금), 돈을 빌려주면서 받아가는 것은 이자로 봅니다(이자제한법 제4조 1항)
4) 이자에 대해서 다시 이자를 지급하기로 하는 소위 '복리' 계약은, 연 30%의 이자범위를 벗어나면 역시 무효입니다.
5) 연 30% 이상의 범위를 초과하여 이자를 받으면 형사처벌(1년 이하의 징역 / 1000만 원 이하의 벌금)까지 됩니다(이자제한법 제8조).
단, 등록된 대부업체의 경우는 위 30%가 아닌 연리 39%의 범위까지 가능합니다. 아무래도 관리감독을 받는 대부업체들이기에 이율의 제한을 조금 완화한 것입니다.
'CDRI 법률지식정보 > 채권회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우성변호사의 로펌리포트 : 현행법상 허용되는 이자의 한계 (0) | 2014.01.27 |
---|---|
cdri 기업분쟁연구소 report : 민사소송하기 전에 가압류가 필요한 이유 (0) | 2013.09.16 |
조우성변호사의 채권회수 : 강사료를 주지 않는 교육업체를 상대로 내용증명 (2) | 2012.10.20 |
이자제한법 위반시 (0) | 2012.09.28 |
채권회수 삼국지(1) 채무자의 거래처에 대한 채권가압류라는 방법 (2) | 2012.04.23 |
강제집행 과정에서 유의할 점 - 사진을 찍어라.. (0) | 2012.03.11 |
댓글을 달아 주세요